안녕하세요
혹시 지금 집을 구하고 계신가요?
서울 기준으로 요즘에는 참 집 값이 비싼데요
대학생들의 기준에서 대학교 근처 원룸들이 너무 비싸서 고민이신 분들이 많을겁니다.
특히 대부분 월세집인데 월세를 매달 내기 벅찰 정도로 부담스러운 분들은 전세를 찾을탠데요
대학가 근처에는 아쉽게도 전세가 많지 않아서 부동산을 찾더라도 집을 구하기 힘들다고 합니다.
하지만 전세가 없지는 않은데요, 저도 최근에 학교 근처에 전세집을 찾고 있었는데
부동산을 돌아다니다가 마침 들어간 곳에서 방금 전세가 하나 나왔다고 해서 바로 계약했답니다.
오늘은 집을 구할 때 부동산에 지급해야 하는 중개수수료를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네이버에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라고 검색하시면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간이계산기를 이용하실 수 있답니다.
매물종류, 거래지역, 거래종류, 거래금액, 합의보수율을 입력하여 계산하는 방식인데
합의보수율을 알지 못하시면 비워놓고 계산을 해도 상한요율로 적용되기 때문에 최대 금액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는 실제로 제가 계약한 원룸의 전세로 입력을 한 것인데요
최대 중개보수가 300,000원으로 계산이 되었습니다.(VAT 별도)
저는 중개수수료를 330,000원을 지급했는데요 VAT, 즉 부가세로 30,000이 붙어서
서울시 최대 중개수수료로 지급을 한 셈이겠지요?
위 사진의 아래를 보시면 중개보수 요율표가 있는데요
해당 요율표는 서울시, 주택, 전세 임대차의 조건에 한해서 설정되어 있는 요율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래에 있는 전체보기를 누르시면 주택, 오피스텔, 토지, 상가, 고급주택 등 다양한 주거지역의
거래금액에 따른 상한요율, 한도액 등을 알 수 있는데요.
매매 교환일 경우에는 상한요율이 좀 더 높고 그 외의 전세, 월세와 같은 임대차 거래의 경우에는
0.1% 정도씩 낮은 상한요율을 가지게 됩니다.
오피스텔도 주택과 비슷한 편인데요, 주택 이외의 토지나 상가같은 경우에는 상한요율이
주거지역보다는 훨씬 높은데요 주로 0.9% 이내에서 결정한다고 합니다.
집을 알아보시기 전에 부동산 중개수수료가 얼마인지 미리 알아갈 수 있으면
미리 돈을 계산할 수도 있고 혹시나 내가 초과된 금액을 주진 않을까 의심할 수도 있겠지요?
이상 부동산 매매, 임대차 거래시 중개수수료를
알아보았습니다.
'도움되는정보만가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리통 아플 때 효과적인 음식은? (0) | 2018.03.09 |
---|---|
한글 최근 문서목록 지우는 방법 (0) | 2018.03.07 |
육아휴직 대체인력 지원금, 신청하는 방법 및 주의사항 (0) | 2018.03.05 |
불법 소프트웨어 단속 처리하는 방법 (0) | 2018.03.05 |
'KeyTweak' 키보드 재배치, 미사용 자판 해제 등 유용한 기능! (0) | 2018.03.03 |